Portal (Public Open Relay To Access Localhost)
AI 와 웹사이트
Codex, Gemini, Claude code 등 AI Code assistent 의 등장은 웹사이트 제작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몇 명에서 수십 명이 분업해야만 서비스할 수 있었던 웹사이트를, 이제는 한 명의 창작자가 혼자서 완성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는 웹이 더 이상 거대 조직의 전유물이 아니라, 창의적인 개인의 영역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AI는 프로그래밍의 장벽을 낮추고, 아이디어만 있다면 누구나 자신의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웹을 만드는 일과 세상에 공개하는 일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습니다. 이는 기술적 한계가 아닌, 현대의 웹 구조가 만들어낸 인위적 장벽 때문입니다.
중앙화된 웹 환경
현대의 웹 환경은 World Wide Web이라는 이름과 달리 극도로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거대 플랫폼들은 공인 IP와 도메인 체계를 독점하며, 접근성과 편의성을 빌미로 개인의 자유로운 호스팅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 속에서 대부분의 창작자들은 도메인과 인프라의 장벽 앞에서 멈춰 서게 됩니다. 웹사이트를 만들 수는 있지만, 세상에 보여줄 수는 없게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개인은 거대 플랫폼 틀 속에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에만 그칠 뿐, 자신의 아이디어를 직접 호스팅하고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Portal: Public Open Relay To Access Localhost

Portal 은 바로 이 문제의식에서 출발합니다. 누구나 자신의 컴퓨터에서 실행한 서비스를 세상과 연결할 수 있다면 세상이 어떻게 바뀔까요? Portal은 로컬 환경을 웹에 직접 연결해, 개인이 손쉽게 자신만의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위해 Portal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Portal은 웹의 호스팅과 컨텐츠 제작을 분리합니다. 여기서 호스트는 더 이상 플랫폼 사업자가 아닌, 개인의 콘텐츠를 중계하는 전달자로만 기능합니다. 콘텐츠의 주체는 언제나 개인이며, Portal은 종단 간 암호화된 연결을 중계할 뿐, 개인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통제하지 않습니다. 이는 곧 서비스의 소유권과 보상 구조가 전적으로 창작자에게 귀속된다는 의미입니다.
Portal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앱 개발자는 Portal 에 배포하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클라우드 설정이나 서버 인프라 지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SDK를 임포트하고 몇 줄의 코드만 추가하면, 자신의 로컬 서버가 곧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퍼블릭 서비스로 확장됩니다.
Portal은 완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특정 중앙 서버나 관리자에 의해 통제되지 않습니다. 공개 IP 를 가진 누구라도 Portal 인스턴스를 직접 배포해 다른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중계하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창작자는 자신이 신뢰하는 Portal을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직접 자신의 Portal 노드를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와 웹
현대 웹의 중앙화를 살펴볼 때 유튜브는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과거 방송 산업은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을 모두 독점한 중앙화 모델이었습니다. 그러나 유튜브는 콘텐츠 제작이라는 영역을 개인에게 개방함으로써, 수백만 명의 창작자들이 참여하는 전례 없는 규모의 생태계를 만들어냈습니다. 누구나 카메라 하나로 방송국이 될 수 있게 되었고, 콘텐츠의 다양성, 속도, 규모에서 기존 방송 체계는 유튜브를 따라갈 수 없게 되었습니다.
Portal은 이러한 혁명을 웹 호스팅 영역으로 확장합니다. 거대 클라우드와 플랫폼이 독점하던 세상에 공개하는 권한을 개인에게 되돌려줌으로써, 웹의 창작과 배포를 완전히 자유롭게 만들 것입니다.